임고서원 전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임고서원 전적(臨皐書院 典籍)은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에 위치한 임고서원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시대의 전적류입니다. 1991년 12월 16일에 대한민국의 보물 제1109호로 지정되었습니다.
임고서원 전적의 종류 및 내용임고서원에 소장된 전적은 약 200여 책에 달하며, 이 중 10종 25책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주요 전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편음점성리군서구해(新編音點性理群書句解): 6책.
- 회찬송악악무목왕정충록(會纂宋岳鄂武穆王精忠錄): 3책.
- 논어언해(論語諺解): 3책.
- 심원록(心遠錄): 6책.
- 임고서원고왕록(臨皐書院考往錄): 2책. 임고서원의 연혁, 원장, 유사 등을 기록한 책입니다.
- 임고서원전곡집물범례등록(臨皐書院田穀什物凡例謄錄): 1책.
- 임고서원장학계안(부)절목(臨皐書院奬學契案(附)節目): 1책.
- 환성사결입안(還城寺結立案): 1책.
- 임고서원범규(臨皐書院範規): 1책.
- 서원규범(書院規範): 1책.
이 외에도 포은 정몽주 선생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들이 있습니다.
- 포은선생문집(圃隱先生文集): 포은 정몽주 선생의 시를 엮은 책입니다.
- 대책문(對策問): 홍건적에 대처하는 방안을 제시한 포은 선생의 과거시험 답안입니다.
- 오죄상소문(五罪上疏文): 포은 선생이 오죄와 관련된 사람들의 사면, 복권을 위해 올린 상소문입니다.
- 제김득배문(祭金得培文): 억울하게 죽은 김득배를 위해 지은 제문입니다.
임고서원 전적의 가치임고서원 전적은 임고서원이 창건된 명종 8년(1553)부터 조선 후기까지의 역사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특히 서원의 운영, 구성, 재정, 관련 인물 등 서원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또한 조선시대 유교 문화와 관련된 학술 자료로서의 가치도 높습니다.
임고서원 전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임고서원 전적 |
유형 | 보물 |
지정 번호 | 1109 |
지정일 | 1991년 12월 16일 |
시대 | 조선시대 |
소장 | 임고서원 |
수량 | 일괄 10종 25책 |
소재지 | 경상북도 영천시 문외동 25 영천시립도서관 |
문화재청 지정 번호 | 12,11090000,37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